본문 바로가기

민법4

[공인중개사] 민법 - 계약의 해제, 법정해제, 약정해제, 합의해제(해제계약) https://www.law.go.kr/판례/(86다카1147) 목차 1. 계약의 해제 (의의, 특징, 종류) 2. 합의해제 3. 해제(=법정해제) 4. 해제권 행사 및 효과 1. 계약의 해제 (의의, 특징, 종류) 더보기 관련 민법 제3관 계약의 해지, 해제 543조(해지, 해제권) ①계약 또는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당사자의 일방이나 쌍방이 해지 또는 해제의 권리가 있는 때에는 그 해지 또는 해제는 상대방에 대한 의사표시로 한다. ②전항의 의사표시는 철회하지 못한다. 의의 - 유효하게 성립한 계약(일시적 계약)의 효력을 특정 사유(채무불이행 등)로 소급효시키는 일방적인 의사표시(단독행위)를 말한다. - 일반적으로 말하는 해제는 법정해제권을 말한다. 특징 (약정/법정해제권의 공통점) 1) (형성권) 일방.. 2022. 6. 16.
[공인중개사] 민법 - 위험부담, 제3자를 위한 계약(요약자, 낙약자, 수익자) 목차 1. 위험부담 2. 제3자를 위한 계약 1. 위험부담 (누가 위험을 부담할 것인가) 주요 특징: 임의 규정, 쌍무계약, 후발적 불능(귀책 사유 X), 존속상의 견련성에서 발생 *존속상의 견련성 예: 매매계약에서 소유권이전의무와 대금지급의무는 대가관계인데, 소유권이전의무가 소멸될 경우 대금지금 의무도 소멸되는 관계를 말한다. 종류: 채무자위험부담주의, 채권자위험부담주의 *민법은 채무자위험부담주의가 원칙이다. 채무자위험부담주의 (원칙 - 제537조) 1) 예: 매매계약 이후 물건 멸실 + 쌍방의 귀책 사유 X 2) 요건: 후발적 불능 + 쌍무계약 + 쌍방의 귀책 사유 X *만일 채무자에게 귀책 사유가 존재할 경우, "채무불이행" 문제이다. 3) 효과 채무자의 채무(소유권) 소멸되므로 상대방에게 이행청구.. 2022. 5. 5.
[공인중개사] 공인중개사 관련 법령, 판례 보는 법 본 게시글의 제목에는 공인중개사 관련 법령, 판례 보는 법이라고 작성되어 있다. 하지만 공인중개사와 무관한 주제에 대한 법령, 판례를 보는 방법도 본 게시글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.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도 궁금한 내용이 생긴다면 응용하여 사용하기를 바란다. 법령과 판례와 같이 우리나라 법과 관련된 자료는 "국가법령정보센터"에서 확인할 수 있다. 법제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로 법령, 행정규칙, 판례, 해석, 서식 등을 확인할 수 있다. 법령 찾아보는 법 1. 국가법령정보센터에 접속 후, 현행법령 메뉴를 클릭한다. (과거 법령을 보고 싶을 경우, 연혁법령을 클릭하면 된다.) 2. 본인이 확인하고 싶은 법령을 입력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, 법령이 출력된다. 3-1. 연혁(과거 제개정된 법령)을 보기 .. 2022. 5. 4.
[공인중개사] 민법 - 동시이행의 항변권 동시이행의 항변권 (임의 규정) 더보기 동시이행의 항변권의 취지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공평의 관념과 신의칙에 입각하여 각 당사자가 부담하는 채무가 서로 대가적 의미를 가지고 관련되어 있을 때 그 이행에 있어서 견련관계를 인정하여 당사자 일방은 상대방이 채무를 이행하거나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아니한 채 당사자 일방의 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때에는 자기의 채무 이행을 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(판례 발췌) 관련 법령: 민법 제 536조(동시이행의 항변권) ① 쌍무계약의 당사자 일방은 상대방이 그 채무이행을 제공할 때 까지 자기의 채무이행을 거절할 수 있다. 그러나 상대방의 채무가 변제기에 있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 ②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게 먼저 이행하여야 할 경우에 상대방의 이행이 곤란할 현.. 2022. 5. 2.